본문 바로가기

통신,에너지,ESG

알고보니 희토류 부국이었네…철 다음으로 많아

728x90
2023041301010005674 © 제공: 에너지경제

 

 

 

[에너지경제신문 윤병효 기자] 첨단산업 필수 광물이자 중국 수입에 절대 의존하고 있는 희토류가 우리나라에도 상당량 매장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그림의 떡에 불과하다. 희토류 생산을 위해선 고도의 선별장비를 구축하거나 아니면 인력으로 처리해야 하는데 우리나라 실정에서는 도저히 채산성을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다만 많은 매장량은 장기 수급 중단에 대비한 전략적 활용가치로 충분하다는 분석이다.

 

25일 한국광해광업공단의 2023 광업요람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주요 금속광물 매장량은 1억3530만톤이며, 이 가운데 생산성이 있는 가채매장량은 1억480만톤으로 나타났다. 금속광물 광산 수는 총 233개이다.

 

 

가채매장량이 가장 많은 순으로는 철(티탄철) 4335만톤, 희토류(R2 O3 2.1%) 2018만톤, 텅스텐 1190만톤, 연·아연 1123만톤, 은 617만톤, 몰리브덴 522만톤, 금 452만톤, 사금 200만톤, 동 165만톤 순을 보였다.

 

광산 수는 금이 95개로 가장 많고 이어 철 31개, 연·아연 30개, 동 27개, 텅스텐 17개, 은 13개, 사금 9개, 몰리브덴 5개, 망간과 주석 각 2개, 희토류 1개로 나타났다.

 

국내 금속광물 매장량 중 철 다음으로 희토류가 많다는 것은 의외의 사실이다. 희토류는 첨단산업에 필수적인 핵심광물로, 중국이 글로벌 생산량의 80%를 차지하고 있다. 가공품까지 감안하면 90%를 차지할 정도로 절대적이다. 우리나라도 중국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희토류는 원자번호 57번 란타넘(La)부터 71번 루테튬(Lu)까지의 란타넘족과 21번 스칸듐(Sc), 39번 이트륨(Y)까지의 17종류 원소를 총칭한다. 전기차와 풍력발전 터빈 등의 핵심부품인 영구자석에 들어가는 네오디늄이 대표적인 희토류 원소 중 하나이다.

 

사실 희토류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 매장돼 있다. 하지만 이름처럼 추출이 매우 어렵다는 게 문제다. 흙 1톤에서 겨우 몇 그램을 채취할 정도다.

 

가공과정에서 독성물질이 다량 사용돼 환경오염도 심하다. 선진국에서는 도저히 채산성을 확보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환경단체 및 지역주민의 반대로 사실상 개발이 힘들다. 우리나라도 2018년 충남 광산에서 마지막 생산이 이뤄진 뒤 그 뒤로는 폐광된 상태다.

 

광업계 한 관계자는 "희토류는 생산량이 매우 적기 때문에 고도의 선별장비를 구축하거나 아니면 인력으로 이를 처리해야 하는데 둘 다 우리나라 실정에 맞지 않고, 세계 여느 나라도 마찬가지다. 중국이 희토류 공급을 독점하게 된 배경이 여기에 있다"고 설명했다.

 

 

광업요람 자료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중국의 희토산화물 생산량은 34만8000톤으로 이는 전세계 생산량의 80%이다. 다음으로 많은 곳은 미얀마 3만5000톤, 미국 2만5800톤, 호주 1만5970톤, 인도 4200톤 수준이다.

 

중국은 희토류 독점 생산을 앞세워 이를 경제 무기로 삼고 있다. 중국은 2021년 말 자국 내 희토류 생산기업을 통합한 중국희토그룹유한공사를 설립했다. 이 회사는 중국 국무원 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가 직접 관리, 감독한다. 또한 중국은 작년 말 수출금지 목록에 희토류 추출·정제· 가공 기술을 포함했다.

 

미국은 이에 대응해 국방부 지원으로 MP머티리얼즈 등 민간기업을 육성해 희토류를 생산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희토류 수요가 많지 않기 때문에 미국처럼 정부가 지원을 하더라도 개발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단기 수급 중단에 대비해서는 비축량 확보 및 수급처 다변화를 꾀하고, 장기 수급 중단에 대비해 국내 매장량을 활용해야 한다고 업계는 진단하고 있다.

 

다만 에너지·자원의 공급망 갈등이 갈수록 심각해짐에 따라 가장 확실한 해법인 국내 광산 개발을 위해 정부 지원이 확대돼야 한다고 업계는 지적한다.

 

업계 한 관계자는 "이미 광업 선진국에서는 무인장비를 통한 스마트 광산 개발로 채굴비용도 줄이고 사고도 줄이고 있다"며 "우리나라도 스마트 광산 개발 체계 구축을 통한 광업 선진화가 필요하다. 그렇게 되면 광물 자급률도 훨씬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에너지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