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버스 시장은 코로나19 확산과 함께 급성장했다. 메타버스가 새로운 비즈니스 터전이 될 것이라는 장밋빛 전망이 쏟아졌지만, 엔데믹이 다가오자 상황은 달라졌다. 메타버스에 투자했던 글로벌 대기업조차 경기 침체 속에 사업을 접거나 인력을 줄이고 있다. 메타버스를 미래 먹거리로 삼았던 정부와 지자체는 지금 어떤 상황일까
최근 메타버스에 투자한 글로벌 기업이 잇따라 사업을 접으면서 메타버스 회의론이 나온다. 월트디즈니는 지난 2월 구조조정을 하면서 메타버스 사업부를 해체한 것으로 알려졌다. 마이크로소프트는 3월 10일 가상현실에서 아바타로 게임 등을 할 수 있었던 SNS 플랫폼 ‘알트스페이스’의 서비스를 종료했다. 메타버스에 집중하기 위해 사명까지 바꿨던 메타플랫폼스(옛 페이스북)는 관련 사업부의 손실이 이어지면서 두 차례 대규모 감원을 할 만큼 상황이 어려워졌다.
메타버스에 뛰어든 건 기업뿐만이 아니다. 정부는 2022년 1월 ‘메타버스 신산업 선도 전략’을 발표하며 2026년까지 세계 메타버스 시장에서 점유율 5위 달성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정부는 세부 전략으로 공공 행정 및 민원 서비스를 메타버스 정부로 실현하거나, 지역의 특화 소재와 메타버스를 결합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이끈다는 청사진을 세웠다. 이후 정부에 발맞춰 여러 지자체가 메타버스 산업을 키우는 데 나섰다. 선두에 나선 건 서울시다.
서울시는 지자체 중 가장 먼저 공공 메타버스 플랫폼 ‘메타버스 서울’을 만들었다. 서울시에 따르면 메타버스 서울은 세계 도시 중 최초로 공공에서 구축한 메타버스 플랫폼이다. 서울시는 ‘메타버스 서울 추진 기본계획 2022~2026’을 세우고 진행하고 있다. 파일럿 단계부터 1~3단계로 구성된 로드맵에 따라 지난해 메타버스 서울을 만들어 1단계(도입)를 진행했고, 올해부터 2단계(확장)를 실시한다.
서울시는 2021년 메타버스 서울 추진 기본계획의 소요 예산을 405억 원(2022~2026년)으로 세웠다. 2022년에는 사업비 예산으로 24억 1600만 원을, 2023년에는 전년 대비 약 4억 원 증가한 28억 1395만 원(시비)을 책정했다. 이 중 전산 개발비에만 약 23억 원이 투입된다.
올 초 정식 오픈한 메타버스 서울 앱에서는 가상의 서울시청, 서울광장, 서울 10대 명소, 서울시장실, 핀테크 기업 홍보관 등을 방문할 수 있다. 주요 기능으로는 민원 서비스(120 다산콜센터 채팅 상담, 민원서류 발급 신청), 서울런 멘토링 상담, 세무 정보 조회, 지방세 계산, 기업지원 상담 등이 있다.
서울시는 2021년 메타버스 플랫폼 구축 계획을 발표하면서 “시공간적 제약, 언어 장벽 등 현실의 한계를 극복하는 공공서비스를 제공하고, 시정 전 분야로 확대해 공무원들의 업무 효율을 높이겠다”라고 밝혔는데, 현재로선 메타버스 서울이 업무 효율을 높일지는 의문이다.
예를 들어 메타버스 서울 내 ‘민원 서비스’에서 서류 발급을 시도하면 블록체인 기반의 비대면 행정서비스 앱인 ‘서울지갑’으로 연동된다. 서류 발급은 서울지갑을 통해 가능하며, 메타버스 서울 앱엔 발급 이력만 나올 뿐 서류를 확인할 수 없다. 결국 비대면 서류 발급을 위해 두 개의 플랫폼을 거치는 셈이다.
메타버스 플랫폼의 핵심인 이용자 간 소통도 어렵다. 채팅 기능은 있지만 다른 이용자를 찾을 수 없기 때문. 민원 서비스 기능을 제외하면 이용자의 흥미를 끌 만한 요소가 적은 탓으로 보인다. 이용자 후기에서도 “콘텐츠 보강이 필요하다”, “퀄리티는 좋지만 뭐하는 앱인지 감을 못 잡겠다” “재미가 없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이 때문인지 앱을 찾는 시민은 많지 않다. 11일 기준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메타버스 서울 앱의 다운로드 수는 5000회 이상에 그쳤다. 민간 메타버스 플랫폼인 제페토가 1억 이상, 이프랜드가 100만 이상임을 감안하면 적은 수다. 서울시에 따르면 메타버스 서울의 1~3월 누적 방문자 수는 3만 명을 기록했지만, 일일 방문자 수는 오픈 초기에 비해 크게 줄어든 것으로 전해진다.
서울시는 올해 △메타버스로 시민 안전체험관 구축 △부동산 계약 체험 서비스 도입 △외국인 지원 사업 등을 진행할 계획이다. 메타버스로 페스티벌, 비엔날레 등도 열 전망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최근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시장실에 상호작용이 많았으면 좋겠다’ 등의 시민 의견이 나와 검토 중”이라며 “4월 말에 출시 100일을 맞는데 이에 맞춰 시민의 요청 사항을 담은 업데이트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서울시가 활용도 및 이용자 확대라는 과제를 안은 가운데, 타 지자체의 상반된 정책도 주목된다. 대구시는 2023년 본 예산에 ‘메타버스 기반 구축’ 예산으로 37억 5000만 원을 책정했다. 이는 전년(9억 원) 대비 316.7% 늘어난 수치다. 올해 △지역 VR·AR 제작 지원센터 구축 △초광역 메타버스 허브센터 구축 △메타버스 대구월드 조성 △메타버스 박람회 개최 △지역 중소기업 제조공정 혁신 지원 등의 신사업을 추진하면서다. 대구시는 AI 블록체인 산업 예산도 205.0%(60억 원→185억 원)나 늘렸다.
반면 메타버스 논의가 시들해지자 관망에 들어간 지역도 있다. 수원시는 2021년 11월 메타버스 정책연구단을 꾸리고 메타버스를 도입한 가상 지방정부 ‘버추얼 수원’을 운영한다는 중장기 목표를 세웠지만 현재는 진행하지 않는다. 수원시 관계자는 “행궁동에서 시범 사업 후 시 전체로 확대하려 했으나, 행궁동만 하고 본 사업이 안 됐다”라며 “패러다임이 바뀌기도 했고, 자체 예산으로 진행하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국가사업과 연계될지 지켜보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출처, 비즈한국)
'Platform,Metaver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래프톤, 네이버제트와 메타버스 플랫폼 사업 맞손 (0) | 2023.04.18 |
---|---|
관심사 기반 커뮤니티 플랫폼 ‘문토’, 52억 원 시리즈 A 투자 유치 – 스타트업 스토리 플랫폼 '플래텀(Platum)' (2) | 2023.04.17 |
넷마블, 메타버스 플랫폼 ‘더 샌드박스’와 업무 협약 체결 (0) | 2023.04.12 |
LG U+, 국내 유일 대학 전용 메타버스 플랫폼 '유버스' 출시 (0) | 2023.04.05 |
과기정통부, 메타버스 운영기관 5곳 지정한다 (0) | 2023.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