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글로벌 기관,단체

中 가상자산 금지 정책 해제 기대감 확산...바이비트, 해외 거주 중국인 등록 허용

728x90

 

 

 

중국이 가상자산(암호화폐) 금지 정책을 해제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확산하고 있다.

글로벌 가상자산 거래소 바이비트가 최근 해외에 거주하고 있는 중국 사용자의 등록을 개시한 것으로 전해지면서 업계의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유명 디파이(탈중앙화 금융) 분석가 알렉스 메이슨은 지난 9일(현지시간) 자신의 X(옛 트위터)를 통해 "중국은 다음 달에 가상자산 금지 정책을 해제할 계획으로 보인다"며 "(가상자산) 시장의 가치는 20배 커지고 1억명 이상의 사용자가 유입될 것이다"라고 전망했다.

 

 

분석가는 "많은 가상자산 프로젝트들은 이미 중국의 투자를 받았다"면서 "이들 프로젝트는 막대한 수익을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덧붙였다. 그는 "중국의 가상자산 금지 해제 조치는 중국이 미국을 꺾고 세계 1위 대국이 되기 위한 중국 공산당의 계획에 해당한다"라고 부연했다.

 

지난 8일 포브스 디지털애셋은 "홍콩과 중국이 비트코인과 가상자산으로 다시 돌아오고 있다는 징후가 나타나고 있다"라고 전했다. 가상자산 전문 미디어 코인피디아는 "중국이 가상자산 금지를 해제하고 잠재적으로 시장에 막대한 자본을 유입할 것인지 의문이 제기된다"라고 보도했다.

 

이같은 주장이 확산되는 이유는 바이비트의 최근 중국인 대상 KYC정책기조 변화에 따른 것이다.

지난 7일(현지시간) 홍콩 매체 홍콩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거래량 기준 세계 3대 가상자산 거래소 중 하나인 바이비트는 해외에 거주하는 중국인이 자사 플랫폼에서 거래할 수 있도록 허용하기 시작했다"라고 밝혔다.

 

해외 거주 중국인은 신분증과 여권을 포함한 중국 신분증으로 바이비트에 가입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다만 사용자의 국가가 중국으로 설정된 경우 가상자산 거래는 아직 허용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한편 이들 사용자는 대만을 위치로 선택해 가입할 수도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가상자산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는 "2020년 기준 해외에 거주 중인 중국인의 수는 약 1000만명에 달한다"면서 "바이비트는 이번 서비스 확대로 일부 중국인 투자자에게 접근할 수 있게 됐다"라고 설명했다.

(출처, bloomingbit)